Surprise Me!

[세계를 보다]“경제효과 월드컵 4배”…도약 위한 엑스포 유치전

2023-06-18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앞서 보신대로 2030년 세계 박람회, 월드 엑스포 개최국 결정까지 5달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미래 세대에 자극과 영감을 주는 엑스포는 유치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지만, 국제적 위상이나 문화적 저력을 알릴 수 있는 국가 브랜드 상승 기회인 동시에 막대한 경제적 효과도 기대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우리나라와 함께 유치전에 뛰어든 나라들 모두 각자의 장점을 어필하면서 막판 스퍼트를 끌어 올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, 이다해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이탈리아 로마의 밤 하늘에 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작품 인체비례도가 펼쳐집니다. <br> <br> 국제박람회기구(BIE) 실사단의 방문에 맞춰 콜로세움 위에 드론 5백대를 동원한 이탈리아 정부는 유구한 역사와 최첨단 기술을 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안토니오 타자니 / 이탈리아 외교부 장관] <br>"이탈리아 정부는 2030년 엑스포 후보국으로서 유치전에 전념하고 있습니다. 이탈리아는 BIE(국제박람회기구)의 가족이고 활발한 회원국입니다." <br> <br> 우리나라와 사우디아라비아, 우크라이나까지 2030년 엑스포 유치 경쟁국은 모두 4개국. <br> <br> 개최국 선정을 5달 앞두고 사실상 부산과 사우디 리야드가 2파전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 두 도시 모두 기후변화 위기 대응을 강조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부산은 친환경 이동 수단, 해수면 상승과 기후변화에 대응하는 해상도시 조성을 내세우며 글로벌 위기 대응을 강조했고 리야드는 '오일머니'를 투입한 도시 재생 프로젝트를 엑스포에 접목했습니다. <br><br>[디미트리 케르켄세스 / 국제박람회기구 사무총장] <br>"(리야드가) 모든 것을 갖추고 있다는 것에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. 엑스포 프로젝트가 이 도시의 개발 아이디어와 잘 들어맞고…" <br> <br>1851년 영국 런던에서 시작된 엑스포는 전화기, 자동차 같은 당대 혁신적인 발명품 전시장 역할을 해왔습니다. <br> <br>엑스포는 크게 2가지 종류로 나뉩니다. <br> <br> 부산이 이번에 도전하는 등록 엑스포는 전시 규모에 제한이 없고 최대 6개월까지 행사가 이어져 월드컵, 올림픽과 함께 세계 3대 축제로 꼽힙니다. <br> <br> 반면 규모가 작은 인정 엑스포는 개최 기간도 짧습니다. <br> <br>1993년과 2012년 대전과 여수에서 열린 엑스포가 여기에 속합니다.<br> <br> 일본은 1970년부터 세 차례 등록 엑스포를 유치했고 중국은 2010년 상하이 엑스포로 우리 돈 약 110조 원의 경제적 효과를 창출했습니다. <br> <br>우리 정부도 엑스포가 열리면 우리나라 인구보다 많은 5050만 명의 방문객과 61조 원의 파급 효과를 기대합니다. <br> <br> 2002년 한일 월드컵의 4배 가까운 규모입니다. <br><br>[윤상직 / 부산엑스포 유치위원회 사무총장] <br>"국가적으로도 굉장히 큰 경제적 효과를 가져 올 뿐 아니라 그동안 국제사회로부터 받았던 도움을, 미래를 위해서 보답하는 (의미입니다.)" <br> <br>이번주 총회에서 공개되는 실사단 보고서에는 사우디가 숙박과 인프라에서 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은 가운데 부산이 가장 높은 점수를 받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> <br> 179개 회원국 표심을 얻기 위해 마지막 프리젠테이션이 열리는 프랑스 파리는 유치 경쟁으로 뜨거워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, 이다해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이혜리<br /><br /><br />이다해 기자 cando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